MEDIA
인도 대기오염과 두 아이의 삶을 다룬 NYT 인터랙티브
스노우폴로 인터랙티브 스토리를 유행시킨 뉴욕타임스. 한때 국내에도 이런 기사류의 바람이 불었으나, 대부분 가시적인 수익성이 없어 포기했다. 하지만 NYT는 꾸준히 만들어오고 더보기…
스노우폴로 인터랙티브 스토리를 유행시킨 뉴욕타임스. 한때 국내에도 이런 기사류의 바람이 불었으나, 대부분 가시적인 수익성이 없어 포기했다. 하지만 NYT는 꾸준히 만들어오고 더보기…
에코프로비엠은 올해 수익의 30%를 안겨준 최애 종목. 하지만 5만원에 사 11만원에 팔고, 다시 12만원에 사 15만원에 팔면서 치솟는 걸 구경해야만 더보기…
현중넷은 2018년 말에 AWS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해 만들었다. 티스토리, 네이버블로그를 써오다 플랫폼 이슈에 너무 묶이는 것 같아 별도로 뺀지 약 2년. 더보기…
결정론이냐 의지론이냐, 다중우주냐 단일우주냐, 드라마를 보면서까지 이런 골치아픈 생각을 하고 싶진 않다면 ‘데브스(Devs)’는 비추천이다. 그런데 IT쪽에 관심이 많으면서 관련된 철학적인 더보기…
어떤 서비스를 운영하든지 방문자를 늘리는 게 기초이며 핵심입니다. 제가 일하는 신문사도 온라인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핵심 지표로 방문수를 보고 있는데요. 이때 더보기…
제목을 보면 조선일보가 무언가 대단한 걸 갖고 있고 워싱턴포스트는 대단한 언론사임에도 무언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 수 있는데, 그냥 어그로입니다(…) 사실 더보기…
우리 회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아크’를 도입합니다. 아크는 워싱턴포스트의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인데, 언론사 다니는 사람에겐 ‘집배신’ 시스템으로 친숙할 거예요. 블로거들이 쓰는 더보기…
#1 H는 온라인 쇼핑을 종종 한다. 주로 옷을 산다. 요즘은 코로나 때문에 어딜 쉽게 가지도 못하고 직접 매장에 가면 찝찝하기도 더보기…
네이버에서도 구독 모델을 발표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이라는 건데… 정식 출시는 6월 1일이라고 한다. (네이버 블로그 참고) 구독이 정말 대세이긴 한가보다. 내가 더보기…
인터콤(Intercom)에서 재밌는 분석을 했다. (여기서 인터콤은 비즈니스 메신저 앱을 만드는 미국 업체이고, 한국의 동명 회사와는 관련이 없다. 나는 디독이라는 디자인 더보기…